안녕하세요!
가슴 뛰는 삶, 도전하는 삶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는
주토피아의 주디입니다.
솔직하고 도움이 되는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최근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OTT 시리즈가 새롭게 영화제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고 있다고 하는데, 오늘은 OTT 시리즈가 정확히 무엇인지, 등장 배경과 특징, 왜 최근에 이슈가 되는지, 어떤 업체들이 있고, 어떤 작품이 뜨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란 무엇일까요?
OTT(Over The Top) 는 인터넷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셋톱박스를 통해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말했으나, 인터넷 광통신망의 발달로 스트리밍 서비가가 가능해져 인터넷 기반의 모든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흔히 N-Screen이라고 하는데, 모바일, TV, PC, 태블릿 등 N개의 스크린에서 볼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자가 원할 때 방송을 보여주는 방식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업체로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에도 초청된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왓챠, 웨이브, 티빙 등이 있습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가 등장한 배경은?
OTT 서비스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초고속 인터넷의 발달과 보급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인터넷의 속도가 보장되어야 동영상 서비스를 불편함 없이 즐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OTT 서비스들은 2000년대 중,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구글은 2005년에 구글 비디오를 출시했고, 2006년에는 유튜브를 인수했습니다. 넷플릭스는 2007년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했고, 애플도 2007년에 애플 TV 를 시작했습니다. 미국은 이미 수백 개의 케이블 TV 채널이 지상파 이상의 영향력을 갖고 있고 빠르게 성장하며 기존 지상파 방송사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표적인 OTT(Over The Top) 서비스 업체와 특징?
대표적인 OTT 서비스 업체에는 미국의 넷플릭스, 유튜브, 구글 TV, 디즈니플러스, HULU, 애플TV, ESPN 등이 있고 국내에는 티빙(TVING), POOQ, LG U+, 왓챠, 올레TV, 쿠팡플레이, 카카오TV, 네이버 나우, 오션, 애니플러스 등이 있습니다.
1. 넷플릭스(NETFLIX)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해 있으며, 1997년에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세계 OTT 서비스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 190여 개국에 서비스를 공급 중입니다. 2021년 기준으로 1억 8300만 유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장점은 데이터 기반 영상 추천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으며, 자체 제작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고 이 부분에서 콘텐츠 인기도가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오징어 게임 이후 세계적으로 국내 콘텐츠 생산 투자가 증가하고 있고 단연 OTT 서비스의 선두 공급자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단점은 해외 중심의 콘텐츠이고, 자막 오류가 있습니다. 국내 콘텐츠에 대해서는 자막을 제공하지 않고 있으며, 배속 플레이어 안정도가 낮은 점입니다.
2. 디즈니 플러스(Disney Plus)
미국 디즈니 기업을 모기업으로 하여 별도 법인으로 운영 중이며, 2019년에 출시되었습니다. 대형 공급자 중에 가장 늦게 시장에 진입하였습니다. 장점은 우리에게 친근한 이미지이고, 7500편 이상 티브이 콘텐츠와 500편 이상의 영화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모든 콘텐츠를 다운로드 저장 가능합니다. 마블 콘텐츠를 독점으로 제공하고 있고 영상 해상도에 따른 추가 비용이 없으며 만족스러운 더빙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대 4대 동시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점은 플레이어 인터페이스가 불편하고, 자막 오류와 크기가 불안정하며, 이용료가 타사 대비 높게 책정되어 있고 독점 콘텐츠 부분에 있어 약한 점입니다.
3. 티빙(TVING)
2020년 국내 CJ ENM에서 출시한 서비스로 CJ 채널인 TVN, JTBC를 독점 제공하고 있으며, 유일하게 국내 콘텐츠 사업자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1달 무료 이벤트를 하고 있고 CJ ONE과 결합하여 포인트를 적립하고 있으며, 네이버 플러스 가입 시 1달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TVN 다시 보기를 제공하고 있고 동시접속 기기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으며, 독자 콘텐츠의 제작을 확대 중입니다. 단점은 콘텐츠를 저장하여 재생이 불가하고 카테고리로 구분되어 있지 않으며, 더빙이나 자막 변경이 불가합니다. 아직까지는 독자적인 콘텐츠가 많이 부족한 상태입니다.
4. 웨이브(Wavve)
SK와 지상파 3사의 합작으로 2019년 출시한 국내 사업자로 국내 OTT 서비스 공급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장점은 국내 콘텐츠 보유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지상파 실시간 보기, 다시 보기를 제공하고 있으며, SKT 5G 요금제와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벅스 뮤직과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단점은 해외 콘텐츠의 양이 미비하며, 일부 콘텐츠는 구매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있고, 개인별 맞춤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국내 콘텐츠 위주의 소비자에 적합합니다.
5. 왓챠(Watcha)
국내 공급자로 2016년에 영화 추천 및 리뷰 사이트로 시작하였고, 현재 OTT 서비스로 확장하였습니다. 넷플릭스에 제외된 인기 콘텐츠를 다수 보유하고 있고, 국내와 중국, 일본 등 동양 콘텐츠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타 콘텐츠 시청자와 채팅 시청이 가능하고 개인별 맞춤 추천 기능이 있습니다. 2주간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콘텐츠의 양이 많이 부족하고 지상파의 다시 보기 같은 경우 6주 후에나 가능한 점이 단점입니다. 2022년 7월경 왓챠는 게임 등 콘텐츠 기업을 대상으로 경영권 매각을 추진 중이라는 소식이 있습니다. OTT 기업은 계속적인 콘텐츠 개발이 가장 큰 경쟁력인데 토종 OTT 기업으로서 이렇다 할 자체 대표작도 없고, 제작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투자를 하기에도 오직 구독료와 투자에만 의존하다 보니 많이 어려운 상황임이 짐작이 갑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 특징(장점)?
실시간 재생되는 스트리밍 기술을 기반으로, 영화처럼 프로그램 편당 과금 체계가 아닌 대부분 월정액의 구독료를 지불하면 모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우리나라처럼 인터넷이 보편화되어 있는 환경이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고, 수동적으로 소비하는 기존 방송 콘텐츠와는 달리 이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검색해서 선별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유료방송에 비하여 이용료가 비교적 저렴하고, 콘텐츠 이용 횟수나 다운로드에 제한이 없으며, 스마트폰 등 다양한 휴대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영화나 TV 드라마의 다시 보기를 제공하는 VOD 서비스는 물론이고, 자체적으로 제작하고 독점 공급하는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OTT(Over The Top) 서비스로 뜬 영화나 드라마?
1. 넷플릭스(NETFLIX)
○ 오징어 게임
○ 블랙 미러
○ 기묘한 이야기
○ 마인 크래프트
○ 오렌지 이즈 더 뉴 블랙
○ 올드 가드
○ 돈 룩업
○ 로열 트리트먼트
○ 1917
○ 스위트 홈
2. 디즈니 플러스(Disney Plus)
○ 완다 비전
○ 울라프의 탄생
○ 몬스터 근무일지
○ 로키
○ 샹치
○ 팔콘과 윈터 솔저
3. 티빙(TVING)
○ 술꾼 도시 여자들
○ 내과 박원장
○ 돼지의 왕
○ 미드나이트
○ 유미의 세포들
○ 서복
○ 해피니스
○ 스트릿 우먼 파이터 비하인드
○ 괴이
○ 아직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뿐
4. 웨이브(Wavve)
○ 트레이서
○ 미라클
○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 복수 노트
○ 최후의 섬
○ 오목 소녀
○ 러브 신 넘버
○ 유 레이즈 미 업
○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5. 왓챠(Watcha)
○ 자체 콘텐츠 보유수 10편 미만
○ 왓챠를 상징할 이렇다 할 대표작도 없음
이상 OTT 서비스가 무엇인지, 등장 배경, 주요 업체 및 특징, OTT 서비스로 뜬 드라마 나 영화가 어떤 게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올해 부산 국제영화제에서 OTT 드라마 공개작이 지난해 3편에서 9편으로 늘어났고 오픈토크에 OTT 출연 배우들을 보려 관객이 몰리는 등 OTT 서비스가 영화제의 핵심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았다고 합니다. OTT 서비스는 우리에게 유익하고 흥밋거리가 되는 콘텐츠 제공에 있어 더 이상 조연이 아닌 주연으로 우리 곁에 이미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국내 양질의 콘텐츠가 더 많이 제작이 되어 전 세계로 쭉쭉 뻗어나가는 '한류' 대한민국을 만들어 갔으면 좋겠습니다.
'情報(정보, 자료를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뜰폰, 알고보니 공짜나 다름없네요 (60) | 2022.10.19 |
---|---|
전기자동차의 장점, 핵심기술, 보조금, 관리방법 및 전망 (60) | 2022.10.13 |
농지원부 등록시 어떤 혜택이 있을까요? (10) | 2022.10.09 |
증여세 총정리(계산구조, 세율, 공제 한도, 신고· 납부 기한 등) (6) | 2022.10.05 |
직접생산확인(직생) 증명서 제도 완전 대해부 (4)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