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情報(정보, 자료를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리한 지식)

매운맛, 스코빌 지수(SHU)라고 들어보셨나요?

by 주디 홉스 2022. 10. 2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가슴 뛰는 삶, 도전하는 삶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있는

주토피아의 주디입니다.

 

솔직하고 도움이 되는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출처 : 픽사베이

매운 음식 좋아하세요?

2010년대 후반 국내에 중국인 유학생이 늘어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음식점이 늘어나면서 '마라탕'의 얼얼한 매운맛이 우리나라 젊은 여성층에게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마라탕의 인기는 한 때 떡볶이 전문점을 제쳤고, CJ나 오뚜기 등 여러 회사에서는 앞다퉈 매운맛을 내는 제품 출시에 열을 올려왔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은 매운맛을 선호해 왔습니다. 오늘은 매운맛을 내는 성분이 무엇이고, 왜 사람들이 매운맛에 열광하는지,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지, 그리고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매운 음식의 대명사격인 매운 라면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사람들은 왜 점점 더 매운맛에 열광할까요?


매운맛은 혀의 통점을 자극하는 통각으로, 매운 음식을 먹으면 속이 타는 것 같은 열감을 느끼게 됩니다.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땀이 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타는 듯한 고통 뒤에 느끼는 시원한 쾌감은 마치 번지점프를 하기 위해 올라가는 과정에서 느끼는 진땀 뒤에 얻는 희열과 비교된다고 합니다. 눈물, 콧물 다 쏟고 입안이 얼얼해도 매운 음식을 먹을 때 우리는 뇌에서 엔도르핀이 분비됩니다. 엔도르핀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기분을 좋게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매운맛을 못 버리는 것입니다.

또 한가지 이유는 음식의 매운맛은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는 것입니다. 불황이 지속되고 사회적으로 스트레스가 강해질 때 매운맛은 인기가 많다고 하네요. 경제사정이 어렵다 보니 저렴한 가격에 자극적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맵고 짠 음식을 사람들이 많이 찾게 되고, 실제로 각종 매스컴과 SNS, 유튜브 등에서 매운맛을 부추기고 극강의 매운맛에 도전하는 영상들이 인기를 끌게 되는 것입니다.

 

매운맛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 스코빌 지수(Scoville Heat Unit, SHU)


매운맛 하면 스코빌 지수를 언급 안 할 수가 없는데요. 고추에 들어있는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캅사이신(Capsaicin)의 농도를 계량화해 매운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가 스코빌 지수 입니다. 1912년에 미국의 약사이자 화학자였던 윌버 스코빌(Wilbur Scoville, 1865 ~ 1942)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사람이 느끼는 맛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모두 네 가지를 감지하는데, 매운맛은 사람이 혀로 느끼는 맛의 종류가 아닌 통각이라고 합니다. 매운맛의 통각은 입 안쪽의 조직에 손상이나 자극을 주어 말초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되는 감각의 일종으로, 신체에 가해진 아픈 자극에 대해 인체가 스스로 방어하기 위해 반응하는 신경 활동입니다.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 지수는 SHU라는 단위를 사용하고, 전혀 안 매운 '0'에서 시작해서 매워질수록 수치가 높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하면 피망이나 오이 고추의 스코빌 지수를 '0' SHU라고 할때, 매운 라면의 대명사격인 신라면의 스코빌 지수는 2,700 SHU 라고 합니다. 피망이나 오이 고추보다 신라면이 2,700배 맵다고 할 수 있는 거죠. 1,300 SHU는 매운맛을 1이라고 할 때 설탕물을 2,700배 희석을 해야 매운 맛을 못 느끼는 정도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캅사이신은 고추의 씨에 가장 많고 나머지는 껍질에 분포하는데, 고추는 멕시코와 인도에 많은 편이며 아시아에는 태국, 중국의 사천지방의 고추가 대표적으로 매운맛의 대명사로 불립니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매운맛, 건강에 얼마나 이로울까요?


1. 산 생성을 억제하고, 위장으로의 혈액 흐름과 점액 생성을 증가시킨다

매운 고추에 들어 있는 캅사이신은 적당히 섭취하면 궤양 발병의 위험을 낮춰준다고 합니다. 캡사이신은 산 생성을 억제하고, 위장으로의 혈액 흐름을 증가시키며 점액 생성을 증가시켜 모든 궤양의 위험을 줄여준다고 합니다.

2. 인체 내 암 발병 위험을 낮춰준다

캅사이신은 체내 조직속의 건강한 세포를 그대로 둔 채, 종양 세포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종양을 죽이는 역할을 합니다. 실제 쥐 실험을 통해 입증된 연구 결과이며, 하버드대학 연구에 따르면 고추를 자주 먹은 사람들의 암 발병 위험이 8% 낮았다고 합니다.

3. 심장이 튼튼해져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줄여 준다

매운 음식을 자주 먹으면 뇌졸중이나 심장마비와 같은 심혈관 질환의 발생이 적어진다고 합니다. 할라피뇨, 고춧가루, 고추 등의 음식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염증의 발생을 억제한다고 합니다. 캡사이신은 동맥을 좁히는 유전자를 차단하여 혈관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낮추고 혈전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4. 식욕을 줄이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된다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식욕이 줄어들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체중 감량과 신진대사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캅사이신을 섭취할 경우 하루 칼로리 소모가 더 늘어나 체중 감량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5. 위산 역류를 악화시켜 소화불량과 속 쓰림을 유발할 수 있다

매운 음식을 많이 먹으면 위와 식도를 분리하는 근육을 느슨하게 하여 위산 역류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매운 음식은 위장 조직을 자극하여 과민성 대장증후군, 궤양성 대장염 등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매운맛은 캅사이신(Capsaicin) 말고 또 뭐가 있을까요?


1. 알리신(Allicin) - 마늘, 양파

마늘과 양파에 들어있는 물질로 혈액순환과 소화를 돕고,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각종 세균성 질환에 효과가 있다. 체내 축적된 노폐물과 미세먼지를 배출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진저론(Zingerone) - 생강

생강의 매운맛으로 소화를 촉진시키고, 위 점막을 자극하여 위액 분비를 증가시킨다. 강한 살균력으로 식중독 예방에 효과가 있고 식욕 증진, 위장 운동, 졸음을 없애준다.

3. 피페린(Piperine) - 후추

후추 열매껍질에 많이 들어 있는 물질로 위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위나 장의 가스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 위장을 따뜻하게 하고 식욕을 촉진시켜주며, 열을 내려주고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4. 시니그린(Sinigrin) - 겨자, 고추냉이, 갓

겨자나 고추냉이, 갓이 갖고 있는 알싸한 매운맛으로 목감기, 배 아플 때 효과가 있다. 규칙적으로 먹으면 유방암, 위암 등의 종양을 억제하고 결장암을 예방한다.

5. 산쇼올(Sanshol) - 산초(파가라)

마라탕의 주 식재료가 산초. 산초의 매운맛은 산쇼올이라는 성분에서 나오는데, 항균, 이뇨작용, 혈압강화에 도움을 주며 장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해 준다.

 

왕에게 도전하는 자, 지옥을 맛보게 해 주겠다. 염라대왕 라면!!!


시중에 매운맛을 대표하는 가장 접하기 쉬운 음식은 뭐니 뭐니해도 라면입니다. 시중에 나와 있는 라면을 스코빌 지수를 기준으로 매운 맛의 순위를 한번 매겨 보았습니다. 한국의 매운 맛 라면의 진정한 강자 TOP 10을 소개합니다.

 

10위 진라면(매운맛) 2,000 SHU 오뚜기의 간판라면, 1988년 출시
9위 오징어짬뽕/ 너구리(매운맛) 2,300 SHU 농심
8위 팔도비빔면 2,652 SHU 1984년 출시, 국민 비빔면
7위 신라면 2,700 SHU 매운라면의 기준(농심)
6위 남자라면 3,000 SHU 2012년 출시(팔도), 이경규라면(꼬꼬면 다음)
5위 불닭볶음면 4,404 SHU 삼양의 대표 상품으로 제2의 전성기를 이끈 주역이며 8연간 20억 개 1조 2천억원의 매출 달성하였음
4위 열라면 5,013 SHU 1996년 출시(1985년 청보식품 생산 동명의 제품)
3위 틈새라면 9,416 SHU 1981년 김복현의 명동 빨계떡에서 유래
2위 핵불닭볶음면 10,000 SHU 2017년 출시
[주의] 빈속, 임산부, 노약자는 주의를 당부함

 

그렇다면 대망의 1위는 바로 ~~~~

1위. 염라대왕 라면!!! 스코빌 지수가 자그마치 21,000 SHU!!! 신라면 매운맛의 8배!!!

염라대왕라면 : 출처 - 네이버

포장지부터 라면이 아닌 불과 고추, 염라대왕이 그려져 있고 우리나라에 있는 라면 중 가장 매운 라면의 왕좌를 차지한 라면입니다. 핵불닭볶음면을 먹으면 입술과 입속이 맵다면 염라대왕라면은 우리의 목구멍과 내장의 구석구석까지 후벼 파 속을 완전히 뒤집어 놓을 것입니다. 집에서 염라대왕 라면을 먹을 거면 꼭 가족이 있을 때 먹던가, 만일을 대비해서 앰뷸런스나 119를 대기시켜 놔야 된다고 하네요.

아 ~ 그리고 한가지 더! 염라대왕 영접하러 갈때 반드시 우유나 식빵을 동행하는 것 잊지마세요. 우유와 식빵에 있는 지방성분이 매운맛을 완화시켜 준다고 합니다. 생수는 별 도움이 안된다네요ㅡ.ㅡ

 


이번 포스팅 이야깃거리를 준비하면서 매운맛을 나타내는 지수인 스코빌 지수가 뭔지, 매운맛이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요새 사람들이 매운맛에 열광하는 이유 등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매운 음식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몸에 혈액 흐름을 돌게 하는 등 장점이 있겠지만 많이 먹으면 분명 해로움이 더 할 것입니다. 적당한 섭취로 건강을 잘 지키시길 바라며, 이번주말 매운맛에 도전 한 번 해보시죠?

 

728x90
반응형

댓글